본문 바로가기
여행

경주 옛날마을 - 경주에서 잠시 들러 #3교촌

by wanderlust-diaries 2025. 3. 28.
반응형
경주 옛날마을

계림과 월성 사이의 길에 들어가면 교촌이 나옵니다.

 

조금 규모의 도시마다 향교가 있어, 향교가 있는 마을은 통상 「교동」 「교리」 「교촌」이라고 말합니다. 교촌도 마을에 큰 향교가 있어, 그렇게 불리는 것이라고 합니다. 교촌이기 때문에 마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향교입니다만, 여기는 경주 최부자택이 보다 주목을 끌고 있었습니다.

 

경주 최부자당은 9대 진사 12대 만석을 이어 400년에 걸쳐 어려운 백성을 한탄하고 나라를 위해 항일 구국운동을 하고 백성을 깨우는 교육사업을 펼쳤다고 합니다. 12대 만석의 마지막 최준 선생님은 독립운동과 교육에 힘을 쏟았지만 기증을 하고 영남대의 전신인 계림대, 대구대를 설립했다고 합니다. 현재 이 고택은 영남대학에 소유하고 있다고 하네요. 원래 이 집은 경주 최식씨 가옥이었지만 2007년 문화재 지정이 되어 경주 최씨의 고택으로 변경했다고 합니다.

 

6훈(육훈) 과거를 보고 있지만 진상을 넘지 마십시오. 만석 이상의 재산은 사회로 환원 흉년기에 토지를 늘리지 마라. 고객을 두껍게 취급 주변 100마리 안에 굶주린 사람이 없도록 아내가 된 아내는 3년간 무명복을 입고

와우 정말 놀라지 않니? 철저하게 자기 관리를 하는 오두막이었지요.

 

적응 지붕이 정중하고 편안합니다.

 

남성 생활 공간인 큰 사랑

 

아이나 앞에 있는 석조형물은 무엇인지 궁금하네요.

 

여성들이 겪은 간식은 ㅁ자로 독립된 공간이군요.

 

사단

 

옛 록은 모양도 예쁘네요.

 

최부자의 집에서 나와 교촌을 걸어갑니다. 자연석으로 장식 된 울타리와 기와 가게가 아름답습니다.

 

감나무가있는 한옥이 매우 편안하게 보입니다.

 

교촌마을에는 교동법주를 빌리는 집이 있지만 교동법주는 최씨의 가내 고유의 술이며, 1986년에는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고 합니다.

 

교촌과 공영주차장 사이에는 시내가 흐르지만 시내를 건너는 방법은 차가 다니는 교촌교를 제외하고 월정교와 징검교를 건너면 된다.

 

월정교는 뒤에 있는 큰 건물이지만, 사람들은 표지교를 건너는 것을 좋아합니다.

 

냐가에는 해바라기가 피어있었습니다.

 

월정교는 다리교가 없으면 궁전과 착각하는 크기입니다.

 

월정교는 삼국사기에 기술된 것을 바탕으로 「상상력」을 발휘하여 만들어진 다리라고 합니다. 「궁전 남문강 위에 일정 다리, 월정교의 2개의 다리를 놓았다」라고 하는 기록이 시발점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월정교는 10년의 복원 공사 기간을 거쳐 2018년에 완공되었지만, 현재 한국 최대 규모의 목조 다리라고 합니다. 정말 이런 모습의 다리라면 다리는 지하철 상가처럼 그런 장소의 역할을 하지 않았는지 상상해 봅니다.

 

호수에 음악 분수가 있다면, 그것을 보려고 사람들이 강릉을 방문할까요? 개발을 해야 합니다만, 개발을 하지 않아도 좋다. 경주에 잠시 들렀습니다.

 

반응형